주민 "지역경제 외면" 주장 … 강원랜드 "영리기업의 정당 운용"

"강원랜드는 지역경제 살리기를 외면하고 있다. 폐광지역주민과 함께 하고 배려하는 경영철학을 가져야 한다"(지역주민), "우리도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이다. 기업이익을 도외시할 수는 없다"(강원랜드)

 

6000억원에 달하는 강원랜드의 잉여금을 놓고 지역주민과 강원랜드가 설전을 벌이고 있다. '비용절감'과 '경영혁신'을 기치로 내건 조기송 사장체제가 지난해부터 현지 금융기관에 예치된 이 돈을 금리가 좀 더 높은 타지 금융사로 맡기면서 시작된 논쟁이다.  

 

이에 대해 일부 지역주민은 "지역에서 매년 수천억원을 벌고 있는 강원랜드가 이윤추구에만 급급해 지역경제를 외면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며 "강원랜드는 스스로의 설립목적을 잘 이해하고 폐특법(폐광지역개발및지원에관한특별법)의 정신을 되새겨야 한다"고 비난수위를 높이고 있다.

 

반면 강원랜드는 자금 운용에 따라 기업의 사업소득도 달라진다며 잉여금에 대한 투자결정은 어디까지나 기업의 자율이자 권리임을 분명히 했다.

 

강원랜드와 지역주민들에 따르면 지난달 현재 강원랜드의 자본총계는 1조 3600억원, 보유한 잉여금은 6000억원을 상회하고 있다. 최근 2~3년간 8000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면서 매년 2000억원대의 순이익이 누적됐기 때문이다.

 

앞서 조 사장은 지난해 전문 경영인 출신의 고병순(53) 상무를 최고재무관리자(CFO)로 영입, 카지노업계 최초로 예산통제세스템과 전사자원관리(ERP)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김진모 전 사장과 달리 허리띠를 한껏 졸라매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문제의 사단은 김 전 사장시절 지역은행에 예치돼 있던 이 현금의 절반이상이 외지 금융권으로 빠져나가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시작됐다. 강원랜드가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대도시 금융기관으로 예치금을 돌리면서 "수천억원의 강원랜드 뭉칫돈이 빠져나가고 있다"는 소문이 돌기 시작한 것.

 

강원랜드와 갈등을 빚어 지난해 12월 해임된 성희직 전 강원랜드 복지재단 상임이사는 "태백, 정선지역 금융기관 관계자들을 만나 얘기를 들어봤더니 조 사장 취임 이후 잉여금의 50%(3000억원)가 외지로 빠져나갔다"며 "내년에는 70%정도가 외지로 나갈 것 이라며 하소연을 했다"고 전했다. 

 

강원랜드는 거래은행이었던 태백시 K은행과, 고한읍의 N은행, 사북읍의 S은행에 각각 예치된 잉여금이, 금리가 0.1~0.2% 더 높은 서울의 금융 및 증권회사로 이동하면서, 지역경제의 기반인 금융기관의 존립이 흔들리고 있다는 주장이다.

그는 "'돈은 곧 경제'다. 돈이 지역에서 돌아야 지역경제가 살아남는다는 것은 상식이며, 전임 경영진들이 이자수익을 올릴 줄 몰랐던 것은 아니다"면서 "강원랜드가 경영능력을 발휘해 수익을 많이 내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폐광지역 주민과 함께하고 배려하는 경영철학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성 전 이사는 또 "강원랜드가 지역의 거래업체에 특혜를 줄 이유는 없지만 적어도 적정이윤과 수익은 보장해 주어야 한다"며 "그렇게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것이 폐특법의 정신을 살려 '윈-윈'하는 방법"이라고 개선을 촉구했다.  

 

이 같은 주장에 대해 강원랜드의 한 관계자는 "자금이란 것은 운용하기에 따라 수익이 크게 달라진다. 그 전까지는 금리와 관계없이 지역은행에 유치했지만 지금은 CFO체제로 합리적인 손익계산에 의해 움직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금융수익은 사업소득으로 봐야 하며 우리도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으로 기업의 이익을 계속 도외시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강원랜드 직원의 69%는 현지 지역주민이며 영업 이래 2조원에 가까운 세금과 기금을 납부했는데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바가 약하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며 "일부 이해관계에 있는 사람이 그런 이의를 제기할 수는 있을 것"이라며 이의제기에 반박했다.   

 

한편 성 전 이사는 "강원랜드가 분명한 대책을 내놓지 않으면 올해 국정감사에서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제기하겠다"고 엄포를 놨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