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욱 이투뉴스 발행인

[이투뉴스 / 사설] 크고 작은 화학공장에서 안전사고가 빈발하고 있다. 더욱이 교묘한 것은 박근혜 대통령 정부가 들어서면서 안전을 중시, 행정안전부의 이름조차 안전행정부로 바꾸는 등 안전에 비상한 관심을 기울이는데도 안전사고가 잇따르고 있는 것. 마치 새 정부의 안전 중심 국정과제를 비웃는 듯한 모양새다.

지난 14일 여수 석유화학단지내 대림산업 화학공장 폭발사고로 6명이 사망하는 대형 사고가 터졌다. 이후에도 하이닉스 공장에서 화학가스가 누출되는 등 올들어서만도 무려 9번의 사고가 발생했다.

어떤 측면에서 보면 그동안 쌓여왔던 구조적인 요인들이 맞물리면서 최근 여러 가지 형태의 화학물질 유출 및 폭발사고가 일어나는게 아니냐는 분석이 가능하다. 즉 대형 화학공장들은 가동을 전면 중단하는 셧다운 조치를 취해놓고 정비 보수작업을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화학공장 정비작업은 거의 하청업체들이 도맡아 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 때문에 미숙련 노동자들이 투입되고 있을 뿐아니라 심지어는 전혀 관련이 없는 일용직 근로자들이 전문 교육도 받지 않은채 현장에서 위험한 작업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연히 화학물질 처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도 없고 만일의 사고에 대비하는 매뉴얼도 없는 상태에서 화학물질을 다루기 때문에 늘 위험을 지니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아울러 화학물질 관리도 심각한 문제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종업원 30명 이상 전국 2985개 화학물질 배출업체에서 누출된 유해 화학물질은 2010년 한해 3만3027톤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2006년 2만9952톤, 2007년 3만1234톤 등 최근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화학물질 사고가 급증하고 있는 것은 협력업체 관리가 제대로 되고 있지 않는데다 허술한 화학물질 관리와 규제로 안전 불감증이 심화됐기 때문으로 지적되고 있다. 외국의 경우 화학물질 관련 사고가 터질 경우 독립된 조사기관에서 철저히 점검하고 관리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노동부와 환경부, 안전행정부 등 여러 부처로 흩어져 있는 실정이다.

특히 큰 사고가 터지면 신속한 재해 관리도 이루어지지 않은 채 관련 부서가 서로 책임회피에 급급하다는 것이다. 지난해 경북 구미에서 발생한 불산가스 노출사고 당시에도 사고발생 3시간 후에야 주민들을 대피시키고 재난지역으로 선포되는데도 무려 열흘 이상이 걸렸다.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 전부터 안전을 유독 강조해온 것은 이런 현장의 문제점을 적나라하게 파악했기에 가능했으리라 믿는다. 관련 행정 부처는 철저한 사고 분석과 검증을 통해 법과 제도적으로 정비해야 할 것은 물론 우선 가능한 것부터 안전관리에 바짝 신경을 세우고 최선을 다해야 한다.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