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프로젝트 개발사 규모의 경제 요구

[이투뉴스] 일본 정부가 세계 최대 해상풍력 생산국으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탄소제로 경제로의 전환과 동시에 에너지안보 강화에 나선다. 일본 기업들은 대만과 벨기에, 영국 등에 해상풍력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나 아직 자국내 대규모 해상 풍력발전시설을 짓지 못하고 있다.

글로벌풍력에너지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일본은 136MW의 해상풍력 용량을 보유하고 있다. 영국 14GW, 중국 31GW에 비교해 미미한 수준이다. 일본 정부는 2030년까지 10GW, 2040년까지 최대 45GW의 해상풍력을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사업 입찰을 진행하고 있다.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위해 현재 20%에 달하는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을 2030년 전까지 36~38%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종합상사 마루베니가 이끄는 컨소시엄이 작년말과 올초 노시로항(82MW)과 아키타항(55MW)에서 일본 최초 대규모 상업용 해상풍력사업을 시작했다. 덴마크 풍력터빈 제조사 베스타스가 이곳에 바닥 고정식 터빈을 공급했다. 

미쓰비시가 주도한 컨소시엄은 아키타와 치바 지역의 2021년 해상풍력단지 3건(1.7GW) 경매에서 낙찰돼 2028~2030년 사이에 발전소 가동을 시작할 계획이다. GE가 13MW급 풍력터빈 134기를 제조공급하고 일본의 도시바가 조립과 유지, 관리를 맡을 예정이다.

<로이터> 통신은 첫번째 해상 풍력 입찰에서 덴마크의 오스테드와 독일의 RWE, 노르웨이의 에퀴노르 등이 일본 시장 진출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고 1일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2021년 나가사키현에서 16.8MW 부유식 해상풍력단지 건설을 위해 토다사가 이끄는 6개 기업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이 소형 사업의 유일한 경매 입찰자였다. 그러나 지난 9월 토다사는 부유식 구조물의 결함으로 사업 착수시점을 2026년 1월로 2년 연기했다. 일본은 내년 3월말까지 부유식 해상 풍력을 위한 새 로드맵을 준비하고 있다. 

일본은 4개 지역에서 1.8GW 용량을 구축하기 위한 2차 해상풍력 입찰자를 3월말까지 선정할 계획이다. 오는 17일까지 2개의 해상 풍력발전소에 1.05GW를 제공하기 위한 3차 경매를 준비하고 있다. 개정된 규칙에 따라 기업들은 입찰의사를 밝힐 수 없다. 

이 가운데 독일의 RWE와 스페인의 이베르드롤라 등 국제 풍력제조사들이 일본에 해상풍력 경매 규모를 확대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중동과 러시아산 에너지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해상 풍력 확대가 더디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일부 업계 관계자들은 일본 정부의 신중한 접근 때문에 상황이 더 불리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RWE 리뉴어블스의 옌스 오르펠트 아시아-태평양 해상풍력 개발 사장은 “(해상 풍력 사업은) 세계적인 경주이며, 단독적으로 이를 들여다볼 수 없다”고 말했다.  

세계 최대 풍력 공급사인 베스타스의 대변인은 “터빈 선정부터 가동까지 일본의 사업 과정은 유럽보다 훨씬 더 오래 걸린다”고 말했다. 그는 “프로젝트 일정이 길어질수록 불확실성과 위험이 더 많이 발생한다”며 업계와 정부가 기간 단축을 위해 긴밀하게 협력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직 발표되지 않은 세번째 입찰에서 2개 사업은 1.05GW 용량으로 발표됐다. 이에 대해 해외 기업들은 규모와 속도가 미미하다고 지적하며 더 큰 경매를 통해 공급망을 확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오르펠트 사장은 “경매 입찰을 진행하겠지만, 경매당 1GW가 아니라 프로젝트당 1GW를 고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스페인의 이베르드롤라의 아시아 태평양 해상풍력 담당자는 “투자자들을 모으려면 더 큰 규모의 발전소를 제안해야 한다”며 “300MW로 규모의 경제를 창출할 수 없다. 대규모 발전소를 선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스테드의 일본 담당자는 일본 측에 “한번에 10GW에서 15GW를 입찰할 것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리스타드 에너지는 일본이 2030년까지 해상풍력단지를 개발하는데 이미 투자된 자금을 포함해 약 180억 달러가 필요하며, 부유식 해상풍력 비용을 포함하면 2050년까지 약 2500억 달러가 필요하다고 추산했다.

한편 일본 경제산업성은 자국기업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2040년까지 자국내 협력업체들이 해상풍력사업의 최소 60%를 차지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외 업체들은 일본 기업들과 협력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생산을 현지화해야 한다.

오스테드와 RWE, BP, 에퀴노르, 이베르드롤라 등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기업들이 일본에 사무소를 열었다. GE 신재생에너지는 도시바 에너지시스템즈앤솔루션즈와 협력해 도쿄 인근에서 GE의 할리아드-X 해상풍력터빈을 제조했다.

양사는 연간 1GW 상당의 약 80기의 터빈을 생산하고 있다. 도시바 관계자는 “도시바 에너지 시스템즈가 해상 풍력 터빈의 국내 공급망을 구축할 계획이며, 2026년부터 나셀 생산을 시작으로 수입산 부품 의존도를 점차 낮춰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인도와 중국에서 나셀과 블레이드를 생산하고 있는 베스타스는 개별 국가에 제조 공장 설립 대신 지역 공급망 형성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베스타스 대변인은 “한 국가를 위해 그 국가에만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이 비용과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 밝혔다. 

조민영 기자 myjo@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