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베테랑' 양원창 해외자원개발협회 부회장
"회원사간 교류 확대하고 임기 내 50개社로 확충"

양원창 해외자원개발협회 부회장.
양원창 해외자원개발협회 부회장.

[이투뉴스] "해외에서 개발한 자원이 국내에서 어떻게 소비되는지까지 계산해야 한다. 과거처럼 단순히 도입에만 그쳐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보다 큰 개념으로 해외자원개발을 바라봐야 하는 시점이다." 

양원창 해외자원개발협회 상근부회장<사진>은 19일 서울 강남구 협회 집무실에서 가진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해외자원개발을 이렇게 풀이했다. 과거 에너지자급률에만 함몰돼 수치 올리기에 급급했던 분위기에서 한발짝 더 나가가야 한다고 했다. 업계가 살아나기 위해선 새로운 정의와 논리가 필요하다고 여러번 강조했다.

양 부회장은 올 7월 협회에 부임한 에너지업계 베테랑이다. 과거 산업부에서 전기위원회, 에너지관리과장 등을 지냈다. 전력과 에너지절약, 집단에너지에 이어 이번엔 해외자원개발 분야를 맡았다.

현재 국내 해외자원개발 업계는 부활의 날개짓을 펴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촉발된 글로벌 에너지 위기, 세계 각국의 자원무기화 등으로 공급망 확보가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자원안보라는 개념까지 등장했다.

윤석열정부가 에너지안보를 강조하고 있는 이유다. 다만 직접적인 투자·개발보다는 비축에 힘을 쏟고 있다. 리튬·희토류 등 핵심광물을 보다 많이 오래 저장해 비상시를 대비한다는 취지다. 석유도 마찬가지다.

이에 대해 양 부회장은 비축사업과 해외자원개발은 병행돼야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축을 늘린다고 해외자원개발이 줄어선 안된다고 했다. 

그는 둘을 서로 상호보완적이라고 설명했다. 비축사업이 단기 대응책이라면, 해외자원재발은 보다 중·장기적인 대응이라고.    

양 부회장은 "비축이 물론 필요하지만 그렇다고 마냥 쌓아 놓을 수만은 없다. 재고를 놓을 공간적 한계도 있고 가격변동성도 고려돼야 한다. 비축과 해외자원개발이 같이 가야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작긴 하나 해외자원개발 관련 예산도 늘었다. 내년부터 정부는 해외자원개발특별융자에 대한 융자비율을 기존 30%에서 최대 50%까지 늘린다. 이에 따라 융자규모도 전체 368억원에서 398억원으로 커졌다.

양 부회장은 부활의 신호라고 평가했다. 실제 매년 융자금은 기업들에게 사전에 수요를 조사하고 이를 반영해 산출한다. 예산규모보다 더 중요한 것은 기업의 니즈다. 예산만 늘린다고 기업이 무작정 달라붙지 않는다. 

양 부회장은 "기업수요가 늘었기에 예산이 증가한 것"이라면서 "금액규모와 상관없이 이번 증액이 해외자원개발 활성화를 위한 하나의 시그널이라고 본다. 앞으로 점차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민간주도를 강조하면서 에너지안보를 내세우는 것은 상충 아니냐'고 묻자 그렇지 않다고 잘라 말했다. 현 정부의 해외자원개발 기조는 민간주도다. 민간기업이 이끌고 공기업이 뒤를 지원한다는 개념이다.

양 부회장은 "에너지안보는 정부나 민간이나 다 구속되는 개념이다. 이는 비단 우리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그렇다. 민간이 자원개발을 담당하게 되면 일정부분 공적인 부담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는 현재 국회에서 논의 중인 자원안보특별법과도 연결되는 부분이다. 자원안보법에는 민간기업의 비축의무가 명시돼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 '도시가스사업법', '광업법', '해외자원개발사업법' 등 개별법을 근거로 에너지·자원 위기에 대응해 왔다. 

양 부회장은 "현재 얼추 합의를 다했고 산업위에서 법사위로 넘어가는 사이에 있다고 들었다"면서 "올해 안 통과를 목표로 추진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양원창 부회장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양원창 부회장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협회 내부적으로도 할 일이 많다. 양 부회장은 회원사 권익보호를 최우선 업무로 꼽았다. 그동안 회원사 챙기기가 다소 미흡했다는 진단이다. 이를 위해 협회에 회원서비스팀을 신설했다. 기업들이 필요한 각종 통계·수치·지역정보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소통도 강조했다. 협회는 석유공사·가스공사·광해광업공단과 같은 공기업과 GS에너지·SK온·포스코인터내셔널·삼성물산과 민간기업으로 구성돼 있다. 공기업은 민간의 근황을 알고 싶고, 민간은 정부정책이 궁금하다.

양 부회장은 "업계 활성화를 위해 중요한 것은 역시 소통"이라면서 "회원사간 교류, 정부와의 정책간담회 등 보다 많은 만남의 장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협회 덩치를 키워보겠다는 당찬 포부도 내비쳤다. 현재 회원사는 40개사로 업황이 힘든만큼 전성기 대비 많이 줄었다. 한창 붐이었을 때는 70여개사가 넘었다. 

양원창 부회장은 "50개 정도로 회원사를 늘리는 것이 임기 내 목표다. 회원사가 많아야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그래야만 업계 대표 목소리가 된다. 직접적인 에너지사에서 나아가 시추회사, 비축기술 업체, 수송기술 업체 등 폭넓게 생각하고 있다. 개발부터 도입, 수송, 소비까지 전 사이클이 해외자원개발 영역"이라고 말했다.

김동훈 기자 hooni@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