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식통계 확정…2014년 6억9060만톤으로 전년대비 590만톤(0.8%) 줄어
원전 정상가동 따른 화력발전량 감소가 주요인, 향후 지속감소 여부는 판단 보류

[이투뉴스]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이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이전 고장으로 멈춰있던 원자력발전소가 정상 가동됨에 따라 석탄 및 LNG 등 화력발전량이 감소한데 따른 것이란 분석이다.

국무조정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김용건)는 24일 센터 대회의실에서 2016년 ‘제2차 국가 온실가스 통계 관리위원회(위원장 국무조정실 2차장 노형욱)’를 열어 2014년도 국가 온실가스 통계를 확정했다.

국가 온실가스 관리위원회는 우리나라 온실가스 통계 및 온실가스 배출·흡수계수 확정을 위한 최종 의사결정 기구로, 국무조정실 외에도 농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공무원 및 민간 위촉위원이 참여한다. 김용건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이 간사역할을 맡고 있다.

온실가스 관리위원회가 최종 확정한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보면 2014년 배출량은 전년보다 약 590만톤 감소한 6억9060만톤(CO2eq, 이산화탄소 환산기준)으로 나타나 1998년 외환위기를 제외하고는 처음 감소했다.

2014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한 주요 요인은 2012년 고장으로 발전량이 감소했던 원전발전량이 회복됨에 따라 화력발전량이 전년대비 6.9% 감소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구체적으로 2014년 에너지 분야의 ‘공공 전기?열 생산’ 부문 배출량은 전년보다 5.6%(1400만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율은 온실가스 감축제도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가 시작된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GDP 증가율 보다 낮은 나타나고 있다. 2014년에는 GDP는 3.3% 증가한 반면 온실가스 배출량은 오히려 0.8% 줄었다.

실제 2014년 GDP 당 배출량은 전년대비 4.1% 감소한 484톤/10억원으로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1990년 699톤/10억원과 비교하면 31% 감소한 수준이다.

▲ 최근 5년간 gdp 및 온실가스 배출 추이

가스별 비중을 보면 CO2(이산화탄소)가 91.1%로 가장 높으며, 이어서 CH4(메탄) 3.9%, N2O(아산화질소) 2.2%, SF6(육불화황) 1.4%, HFCs(수소불화탄소) 1.2%, PFCs(과불화탄소) 0.4% 순으로 조사됐다. 온실가스 중 CO2는 94%가 연료연소에서 발생하며, CH4은 폐기물 매립(28%), 벼재배(26%), 연료연소(22%), 가축 장내 발효(16%) 등 다양한 배출원에서 발생한다. N2O는 농경지 토양(38%), 연료연소(27%), 가축 분뇨처리(22%) 등에서 주로 발생한다.

분야별로는 농업과 폐기물 분야 배출량이 각각 60만톤, 50만톤이 감소했으며, 산업공정 분야는 철강제품 생산 증가로 260만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온실가스 배출비중이 86.8%에 달하는 에너지 역시 2014년 5억9930만톤을 배출해 2013년보다 -1.2% 줄었다.

온실가스센터는 2014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한 이유에 대해 이산화탄소 배출 기여도가 높은 석탄화력발전 비중이 감소한 것이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가축 사육두수 및 폐기물 소각량 감소,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정책 시행에 따른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센터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올여름과 같이 폭염이 발생하는 기후요인, 저유가에 따른 에너지소비 영향, 석탄화력 발전량 증가 등 다양한 상황에 따라 다시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배출량 감소 추세가 유지될지는 더 살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