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뉴스] “열병합발전소가 분명한데도 열병합이라고 부르지 못할뿐더러 대접도 못 받고 있다. 역할과 기능은 동일한데 운영하는 사업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심지어 통계도 다르게 잡힌다. 이제라도 그 발전소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더욱 중요하게 판단해 정책을 펼쳐야 한다”

최근 동서발전이 파주 운정3지구 집단에너지사업허가를 신청했다가 철회하면서 1기 신도시 가스복합발전의 개체(改替)건설 문제가 다시 도마에 올랐다. 4개 발전소 중 안양열병합은 집단에너지 변경허가를 통해 개체(증설)허가를 받았으나 분당과 일산의 경우 시도조차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1기 신도시에 세워진 가스복합은 당인리발전소에 이은 2세대 열병합발전소로 볼 수 있다. 특히 최초 건설단계부터 지역난방 공급을 위해 지어졌으며, 오랫동안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왔다. 하지만 어느 순간 사업자 소속이 어디인지에 따라 명칭과 구분을 달리하고 있다. 심지어 일부는 가동률이 끝없이 하락하면서 찬밥신세로 전락하고 있다는 평가까지 나온다.

사실 분당복합을 비롯해 일산·안양·부천복합은 모두 한전이 건설, 운영하는 가스복합 발전소였다. 여기서 나오는 열을 지역난방공사가 받아 1기 신도시에 집단에너지를 공급했다. 하지만 정부가 안양과 부천복합을 떼어내 LG그룹(현 GS파워)에 매각하면서 운명이 갈리기 시작했다.  발전자회사 소속으로 넘어간 분당과 일산복합은 가스복합으로 유지된 반면 GS파워의 안양과 부천은 열병합발전소로 바뀌었다. 수요처 인근에서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 고효율 난방에너지까지 공급하는 구조는 동일하지만 이름은 달라졌다.

단순하게 명칭만 바뀐 것이 아니다. 법적지위까지 달라지면서 한 곳은 집단에너지로 분류됐고, 다른 곳은 여전히 전기사업법 통제를 받아야 했다. 문제는 지은 지 20년이 넘어 발전소들이 노후화로 효율이 떨어지면서 더 커졌다. 개체를 해야 하는데 한쪽은 상대적으로 쉬운 집단에너지 변경허가를, 한쪽은 경쟁을 통해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돼야 하는 험로를 걷게 된 것이다.

이런 모순으로 급기야 발전자회사가 직접 집단에너지사업을 하겠다고 신청(운정3지구)하기에 이르렀다. 이를 통해서라도 노후화된 가스복합을 개체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최신형 복합발전기로 개체할 경우 발전효율이 7∼8% 상승, 5년 전후면 투자비를 회수할 수 있는 상황에서 가만히 있는 것 자체가 직무유기다. 열 생산원가가 낮아져 집단에너지 측도 이익이다.

다행히 운정3지구와 관련해서는 한난과 동서가 경쟁을 피하는 대신 일산열병합 개체에 상호 협력키로 했다는 소식이다. 전력허가가 어려운 상황인 만큼 집단에너지 사업허가를 추진하는 단초를 마련한 셈이다. 송전설비 확충이 갈수록 힘들어지는 상황에서 인프라가 완벽히 갖춰진 1기 신도시 가스복합은 절대 버려서는 안되는 카드다. 분산전원으로서의 편익과 효용성 역시 국내 발전소 중 가장 크다. 더 늦기전에 가스복합을 열병합발전이라고 떳떳히 부를 수 있도록 허락하고, 걸맞는 대접을 해줘야 한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