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이후 134건 사고…대형 재난성 사고 대응책 전무

[이투뉴스] 2009년 이후 한국산업단지공단 관할 59개 산업단지 내 사고가 134건 발생, 59명이 사망하고 232명이 부상당했으며, 물적 피해액은 무려 517여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대형 재난성 사고에 대한 대응방안은 사실상 전무한 것으로 나타나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김상훈 의원(새누리당)이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단지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화재사고가 53건으로 가장 많이 일어났고, 다음으로는 안전사고 23건, 폭발 22건, 가스누출 18건, 기타 10건, 정전 8건 순이다.

대형 사고도 잇따라 2012년에는 여수 규소 가스누출 사고로 부상 46명, 구미 불산 가스누출 사고로 사망 5명, 부상 16명이 발생했다. 이어 2013년에는 여수 폴리에틸렌 저장탱크 폭발로 사망 6명, 부상 12명, 울산 폴리실리콘 공장 신축 현장에서 일어난 붕괴사고로 사망 3명, 부상 12명이 발생하는 등 산업단지 내 대형 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산단공의 책임과 권한은 애매모호하다. 산단공은 현행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령’ 제3조에 의거 산단 내 대규모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재난관리책임기관이다. 또한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제45조 및 동법 시행령 제58조에 따른 안전관리기관이기도 하다. 그러나 법령 상 산단공은 안전관리 지도를 할 수 있을 뿐 강제할 수 있는 권한은 없다.

또한 산단공의 안전관리 전문인력은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안전관리 전담인력은 현재 본사의 비상안전계획실, 안전지원총괄팀, 비상재난관리팀 등 8명, 합동방재센터 파견 6명에 불과하다. 지역본부에 모두 22명의 안전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인력이 있으나 타 업무를 겸직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정부는 전국 6개 산업단지(구미, 시화, 울산, 여수, 익산, 대죽)에 합동방재센터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이들은 환경팀(환경부), 화학구조팀(방재청), 고용팀(고용부), 산업팀(산업부), 지자체팀(지자체) 5개팀 등 각 30여명 인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센터 미운영 산단의 경우 권역 내 이동거리가 길고, 권역별로도 대응범위가 상이해 신속한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센터는 각 부처의 협업기관일 뿐 일관된 지휘체계가 없어 컨트롤 타워가 부재하다.

이에 따라 김상훈 의원은 “8명에 불과한 산단공 본사의 안전관리 전담인력이 59개 산단에 입주해 있는 4만7464개社 107만여명의 안전관리를 책임질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세월호 참사 당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안행부, 해수부, 해경 등에 산재해 있던 재난대응 기능이 초동대응 미흡으로 이어졌던 만큼, 산업단지 내에서의 대형 사고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대응체계를 수직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 구축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채제용 기자 top27@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