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에너지수입액이 심상치 않다. 증가율 몇 년째 30%선 대를 유지하고 있다.
올해도 30%선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다.
지난해 에너지수입액이 667억달러였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85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우리 수출이 3000억 달러를 넘어섰으니 우리가 에너지를 수입하는데 쓴 외화가 1/3에 달하는 엄청난 액수이다. 이는 ‘에너지수입액 1000억 달러 시대’의 본격적인 개막을 알리는 서곡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만약의 사태를 가정해보자. 언제 닥칠지 모를 고유가의 파고이다. 와서는 안 될 상황이지만 수년 내 100달러까지 급등할 것이란 외국의 유가예측 보고서들이 들어맞는다면 우리의 에너지수입액은 그야말로 1500억 달러 아니 2000억 달러에 이를 수도 있을 것이다.
막말로 우리가 애써 수출한 외화를 에너지를 수입하는데 몽땅 털어 넣는 불행한 사태를 직감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선 에너지소비를 근본적으로 줄여 에너지수입 증가율을 꺾어야할 때이다. 시급히 에너지 저소비 경제체제와 산업으로 전환해야할 시점이다.
이런 점에서 정부의 에너지절감 정책가운데 주목받고 있는 대책이 있다. 바로 시행중인 에너지 원단위 절감 대책이다. 에너지 소비 효율성을 나타내는 에너지원단위는 실질GDP 1000달러 생산을 위해 투입된 에너지의 양이다.


우리나라가 0.362로 일본의 0.107, 대만 0.285, 미국 0.227 등에 비해 높다. 효율성은 일본의 1/3 수준에 불과하다. 
에너지 효율성을 일본 수준으로 향상시키면 에너지 수입은 129억 달러가 줄어 전체 수입은 151억달러 감소한다는 조사도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적용, 우리나라가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구조를 일본 수준으로 개선한다면 148억달러의 에너지수입이 감소해 전체적으로 556억달러가 줄어드는 효과를 거두게 된다.
이같은 노력을 병행할 경우 255억달러의 수입 감소로 전체적으로 682억달러가 절감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함께 민간의 에너지소비를 10% 줄일 경우 전체수입이 12억달러 줄어들 것이다.
따라서 산업의 에너지 효율화, 저소비형 산업구조 전환, 민간가계 부문의 절약 노력 등 범국가적인 에너지 절약 대책이 절실한 실정이다.


산업계, 국민 모두의 참여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정부가 나서 범 국가적인 에너지절약 대책을 마련, 이를 실천해야 한다. 
바로 이런 점에서 에너지 원단위 절감은 에너지수입을 절대적으로 줄이는 대응책으로 정부가 최우선적으로 추진해야하는 과제이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