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히트와 별개로 곳곳서 미니배관망 형태로 착수 및 시도
사업자 간 열연계에서 점차 광역단위 네트워크로 확산될 것

▲ 수도권 집단에너지 네트워크 추진 현황 및 전망.

[이투뉴스] 열거래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이 집단에너지업계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사업자 간 열거래를 위한 열배관망 건설이 본격화되는 것은 물론 발전배열을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근래 들어선 열배관망이 업체 간 연결보다 큰 광역단위 연계로 사이즈가 커지고 있는 것도 눈길을 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추진하는 그린히트 프로젝트 역시 이 연장선에 있다. 찬반이 갈리고 도시가스업계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혀 있지만 사실 열배관 네트워크는 그린히트 성사 여부와는 별개로 이미 스타트를 끊었다는 평가다.

현재 집단에너지업계는 대형발전소를 보유한 큰 회사는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반면 소규모 신생업체는 적자구조를 벗어나지 못하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고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발전규모에 따라 연료비와 발전효율 차이가 큰데다 포화수요까지 뒤로 밀리면서 열 생산단가 격차가 많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물론 열요금을 여기에 맞게 올릴 수도 있지만, 인접지역 대비 과도한 열요금 차이는 거센 민원이 불가피하다는 측면에서 요금 인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한계가 존재한다. 결국 수요라는 외적 요소를 제외하면 자체적으로 저가열원을 최대한 확보, 열 생산단가를 낮추는 방법 밖에 없는 셈이다.

결국 이같은 여건이 사업자들의 적극적인 저가열원 개발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소각열과 산업폐열 등은 이미 포화상태에 달해 더 이상 찾기 어렵게 되면서 최근에는 다수의 사업자 간 열거래 추진사례가 급격하게 늘고 있다. 특히 과거에는 HOB(열전용보일러) 가동을 줄이기 위한 열거래가 주목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아예 자사 발전소를 돌리지 않더라도 이보다 저렴한 열만 확보가 가능해지면 과감하게 움직이고 있다.

◆인천-안산, 인천-서울, 양주-서울라인 시동
사업자 간 열거래는 한난과 휴세스가 2008년 한난 수원지사와 향남지구를 잇는 열배관을 건설, 지역난방공사에서 열을 받기 시작한 것이 도화선이 됐다. 여기에 안산도시개발이 산업단지 열병합사업자인 STX에너지(현 GS E&R)와, 미래엔인천에너지도 인천종합에너지와 배관을 연결하면서 점차 활성화됐다.

이후 열거래 자원이 고갈되자, 발전배열로 눈을 돌려 청라에너지는 독자적인 열생산시설 없이 서인천화력에서 열을 공급받고 있다. GS파워 역시 지난해 인천복합(중부발전) 3호기에서 연간 100만Gcal 열을 받아 부천지역에 공급하고 있다. 또 최근엔 연료전지발전을 하는 경기그린에너지와 휴세스, 한난 간에도 열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여기에 최근 준공된 800MW급의 안산복합(S파워)과 북부권 양주열병합(대륜발전)이 등장하면서 열배관 네트워크는 개별기업 간 연계에서 나아가 광역화되는 양상을 띠고 있다. 안산도시개발과 미래엔인천에너지가 열연계를 위한 배관망 공사에 착수했고, GS파워도 SH공사 집단에너지사업단과 열연계에 합의했다. 대륜 산하 집단에너지사와 SH공사 노원지구를 잇는 배관망도 곧 가시화될 전망이다.

현재 가동되고 있거나 예정된 미니 열배관 네트워크만 보더라도 안산-인천(S파워-안산도시개발-미래엔인천에너지-인천종합에너지) 라인을 비롯해 인천-서울(중부발전-GS파워-SH공사 마곡지구), 양주-서울(대륜에너지-경기CES-민락지구-별내에너지-SH공사 노원지구) 등 3곳에 이른다.

더 나아가 SK E&S 산하의 하남에너지서비스와 위례에너지, 강남 문정법조타운 간 열배관 건설도 시점이 문제일 뿐 곧 추진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물론 지금은 가락시영아파트 지역난방 공급을 놓고 날카로운 신경전을 벌이고 있지만 한난까지 포함한 열연계도 언젠가는 성사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아직 택지개발 규모가 확정되지 않아 사업추진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지만 역시 800MW급 열병합이 들어오는 광명시흥지구까지 본격화되면, 장기적으로 인천을 포함한 한강 이남의 집단에너지 업체 대부분이 연결되는 것도 불가능한 일이 아니라는 분석도 나온다.

◆인센티브 부여 등 정부도 적극 지원
산업부는 최근 집단에너지사업자에게 신재생에너지 등 외부 연계열에 대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열요금 제도개선 고시개정이 없던 일로 되면서 구체적인 방안은 미정이지만 의지는 확고하다. 저가열원 확보를 위한 투자가 오히려 연료비 인하요인만 유발, 열연계에 대한 유인책이 미흡하다는 업계 요구를 수용한 것이다.

또 사업자 간 큰 격차를 보이는 열 생산단가 완화를 위해서는 열연계가 필수적이라는 인식도 한 몫을 했다. 사업자별 열요금 차별화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만큼 일정 수준 이내로 열요금 인상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이같은 현실인식의 연장선상에 있는 그린히트 프로젝트 추진여부는 아직 안개속이다. 미이용 열을 활용, 국가 전체의 에너지이용효율을 높인다는 당위성 측면에서는 많은 공감을 얻고 있지만 도시가스사의 강력한 반발이 가장 큰 걸림돌이다. 산업부는 기획단까지 구성, 도시가스사 설득에 나서고 있지만, 난방세대의 대규모 이탈이 불가피한 가스업계가 호락호락 넘어갈 리 없기 때문이다.

집단에너지업계는 그린히트 프로젝트 추진여부와 상관없이 열배관 네트워크 구축은 이미 시작된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규모의 차이일 뿐 산업부와 한난이 그리고 있는 그림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또 가만히 놔두더라도 수도권 열배관 네트워크는 점차 확장, 광역화될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내놓았다.

집단에너지업계 관계자는 이와 관련“열배관 네트워크를 통한 원가절감 노력은 이제 피할 수 없는 흐름이 됐다”면서 “한난이 주도하든, 민간이 앞장서든 포괄적인 의미의 그린히트 프로젝트는 이미 시작된 것이나 다름없다”고 현 상황을 진단했다.

이어 그는 “열배관망 구축을 위한 시도와 도전이 우선은 생존이 어려운 후발 사업자의 경영개선에 도움이 돼야겠지만, 장기적으로 소비자에게도 그 혜택이 돌아가야만 수요개발 촉진과 함께 진정한 의미의 집단에너지산업 재도약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