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이후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고급인력 육성이 가장 필요한 분야는 에너지 분야이다.
에너지와 자원개발 분야의 전문가가 턱없이 부족한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최근 정세균 산업자원부 장관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에너지분야 전문인력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산업계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는 실정”이라고 솔직하게 인정한 바 있다. 정부의 각종 보고서도 인력양성에 대한 정 장관의 인식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 과기부는 2014년까지 과학기술인력수급 전망에서 에너지 분야에서의 인력부족을 예상했다.


또 교육부도 BK21 사업 등을 통해 고급인력을 육성해야 할 분야로 에너지를 첫 손에 꼽았다. 교육부 조사에서 눈길을 끈 것은 대학 재학생 수준보다 박사급 인력양성이 더 필요한 분야로 에너지를 언급했다. 에너지 분야는 재학생수를 기준으로 206%가 확대돼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에너지 분야 고급인력양성은 시급한 국가 과제이다. 선진국에 비해 고급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에너지·자원분야 전문인력이 질적·양적으로 매우 부족하다. 해외자원개발 협상에 투입할 국제협상가가 필요한 상황이다. 구제척으로 자원경제, 정책 및 세무, 회계, 법률, 경제성 분석 등을 전문으로 하는 양질의 전문인력 양성은 무엇보다도 절실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에너지 인력양성을 위한 산자부 예산을 보면 지난 2001년 12억원에서 올해 257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하지만 현재와 같은 예산지원으로는 급변하는 세계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가 힘들다.
해외자원개발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라야 292명 정도라는 통계치에 그저 막막할 뿐이다.


외국 회사의 전문인력 수를 보면 이를 어쩌나 하는 생각이 든다. 세계 50위권에 속하는 석유회사인 아나다코가 보유하고 있는 전문 인력이 3800명이라고 한다. 일본과 비교해도 1/10 정도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게 국내 현주소이다. 이미 SK(주)와 같은 민간기업에선 전문인력을 수입하고 있다고 한다. 전력인력 양병에 구멍이 생겼기 때문이다.


해외자원개발은 이제 돈보다는 전문인력으로 승부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인식이다. 지금의 부족한 역량을 메우기 위해선 2015년까지 향후 10년 내 3600명의 신규 고급인력을 양병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정부는 에너지 분야별 필요 전문인력 수요를 판단하고 고급 전문인력 확보를 위한 다양한 수단을 강구해야 한다. 공기업, 연구기관과의 협력 프로그램 발굴 등 체계적인 고급인력 양성을 위한 정부 지원을 더욱 확대할 것을 요구한다.
이런 점에서 산자부가 부족한 전문가 수급을 해결하기위해 마련하고 있는 인력양성시스템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