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욱 이투뉴스 발행인

[이투뉴스 사설] 액화석유가스(LPG) 산업이 계속 위기로 몰리고 있다. 분산형 전원의 하나로 에너지 안보에 꼭 필요한 에너지이면서도 서민연료이지만 수요는 줄고 있고 수요감소에 따라 가격은 자연스레 올라가게 되어 있어 안팎 곱사등이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정부 당국도 간헐적으로 LPG 산업에 대한 관심을 갖은 듯 하다가도 생색내는 정책이 아니라는 판단 때문인지 슬며시 꽁무니를 빼는 경우가 많다.

LPG는 편리성과 이동성 등의 장점을 갖추고 있는데다 분산형 전원이라는 점에서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들이 보급 확대를 비롯해 각종 지원책을 펴고 있다. 미국,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LPG 소비국으로 수요의 7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일본은 2003년부터 LPG를 가스체 에너지의 하나로 규정하고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LPG는 과거에 원유를 정제하면서 나오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경우 석유 제품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최근들어 유전이나 가스전에서 생산된 천연가스의 처리 과정에서 많이 생산되면서 석유제품의 일환으로 봐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많다. 정부 역시 이런 모순을 타파하기 위해 석유제품의 하나로 LPG를 취급하는 정책에서 벗어나 가스체 에너지로 독립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다.

정부는 또한 LPG와 천연가스의 균형잡힌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2011년 연구용역을 통해 1차에너지원에서 차지하는 LPG 비중이 4~4.2%대가 바람직하다는 연구결과에 따라 뭔가 대책을 마련하는듯한 모습을 보였으나 뚜렷한 정책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더욱이 최근에는 국토교통부가 경유택시 도입을 확정하고 CNG 차량 개조 및 충전소 설치 지원을 담은 ‘택시산업 발전 종합대책’이 나오면서 LPG 업계는 더욱 큰 어려움에 처할 것으로 보인다. LPG 차량 등록대수는 2010년 245만5696대로 정점을 찍은 뒤 2011년 244만5112대, 2012년 243만3367대로 감소세. CNG 택시가 도입되면 차량용 LPG 수요는 더욱 감소할 전망이다.

가정 및 상업용 프로판 시장도 녹록하지 않다. 지난 5년간 5조원 가까운 막대한 자금을 투입한 전국 천연가스 보급 확대 프로젝트 1단계가 작년말 완료되면서 천연가스 보급률이 80%에 이른다. 어느 한쪽에서도 LPG산업의 돌파구가 열리기 어려움을 증명하고 있다.

하지만 에너지 안보를 위해서는 LPG를 버릴 수 없다. 또한 500만이 넘는 서민 가구들이 LPG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이다. LPG 수요 감소는 곧 가격 인상으로 연결될 수밖에 없다. 그러면 수요는 또 줄어드는 악순환이 계속될 것이다. 안팎 곱사등이로 어려움에 처해있는 LPG업계를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