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에너지부장관 및 노벨상 수상자 스티븐 추 교수 인터뷰
패러다임 변화 못 거슬러…2050년까진 원전역할 불가피론

▲ 스티븐 추 스탠퍼드대 교수
[이투뉴스] “에너지 패러다임의 변화는 불가피하며, 장기적으로 재생에너지로 가야 합니다. 다만 재생에너지가 아직 완벽하지 못한 만큼 원자력과 화석에너지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해요. 하지만 분명한 것은 나무를 심듯이 재생에너지를 하루라도 빨리 시작해야 한다는 점이죠”

스티븐 추 스탠퍼드대 교수의 이력은 화려하다. 1997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학자이자, 2009년부터 올 3월까지 21대 미국 에너지부 장관을 지낸 행정가이기도 하다. 다시 스탠퍼드대로 돌아온 그는 에너지 문제에 대해 박식하면서도 현실성 있는 대안을 제시했다.

우선 에너지 패러다임의 변화를 강조했다. 화석에너지를 통한 에너지 공급위주 정책에서 벗어나 에너지효율 개선과 절약, 지속가능에너지로의 전환은 피할 수없는 시대의 흐름이라는 것이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해 이미 세계가 겪고 있는 피해와 어려움을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입증했다.

재생에너지를 강력하게 외치면서도 원자력에 대해선 현실론을 설파했다. 이번 세기 중 초반 50년(2000∼2050년)은 원자력이 일정부분 역할을 할 수밖에 없으며, 후반 50년(2050∼2100년)에 가서야 재생에너지가 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게 그의 예측이다. 다만 정부의 강력한 안전규제는 물론 사업자 역시 국민 신뢰를 얻기 위한 안전확보 노력을 전제조건으로 달았다.

“에너지가격을 비롯해 에너지산업이 시장원리로 돌아가면 물론 좋겠죠. 하지만 재생에너지 확대 및 에너지효율을 높이기 위해 소비자들이 내야 하는 돈이 많아졌어요. 결국 에너지 소비자가 어느 정도 낼 의지가 되어 있느냐 하는 것이 정책 결정의 가장 큰 요인이라고 봅니다”

그는 세계 각국의 에너지가격 결정시스템과 함께 보조금 지급 문제에 대해선 에너지 소비자의 부담능력과 의지를 중요시했다. 정치가가 최종 결정하는 만큼 여기에 따라 정책결정이 이뤄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유럽에서는 에너지이용효율이 80∼85%에 달하는 열병합발전이 성공적으로 보급되고 있습니다. 미국은 이제야 시작했다고 볼 수 있어요. 한국은 추운 겨울과 더운 여름을 감안하면 열병합 적용이 유리하다고 보는데 왜 확대가 안 되는지 오히려 궁금합니다”

그는 앞으로 재생에너지 등 저탄소 에너지원의 확대와 함께 장거리 송전 문제, 에너지저장이라는 세 가지가 중요한 에너지 이슈로 부각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원자력 등 대형발전소가 수요지와 멀리 떨어져 있어 장거리 송전이 중요하며, 재생에너지 단점을 상쇄시키는 에너지저장시스템에 대한 수요와 관심도 갈수록 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추 교수는 수소경제 및 연료전지에 대해서는 미국에서도 여러 가지 지원을 하고 있지만, 아직은 천연가스를 통해 수소를 생산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고 진단했다. 장기적으로 수소가 의미 있는 에너지원으로 자리 잡기 위해선 만들어내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미국이 역사적으로 온실가스(CO2)를 가장 많이 배출한 만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지속돼야 한다는 점과 기후변화협약 이행에 부정적이라는 것은 인정해요. 하지만 지난해부터 중국 배출량이 미국을 앞질렀으며, 국제협상도 의미가 있지만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실질적인 행동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는 지구온난화 책임이 가장 큰 미국이 정작 감축협약에는 소극적이라는 지적에 대해 연방정부와 주정부를 다르게 봐 달라고 주문했다. 대통령 등 연방에서는 중대한 사항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반대 의견도 많아 정체돼 있지만, 캘리포니아와 메사추세츠 등 주정부가 먼저 재생에너지 확대 등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는 논리다.

아울러 중국의 경우 반대로 중앙정부는 기후변화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있지만, 지방정부가 개발과 성장에 더 치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추 교수는 미국과 중국, 인도가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적극 나서야 하는 것은 분명하며, 이미 CO2를 줄이기 위한 공동연구에 나서고 있다는 점도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국가마다 처한 환경이 다르지만 유럽은 물론 미국-캐나다, 미국-멕시코 간에도 천연가스와 전력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는 등 에너지 국제협력에도 충분히 대비해야 합니다” 그는 반도라는 점과 에너지 전량을 수입해야 하는 우리나라 입장에선 불안감도 있을 수 있지만, 언젠가는 이뤄질 통일 이후 등 장기적인 측면에서 에너지 교역과 국제협력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