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까지 13GW 증설 'kWh당 120원 밑돌 것'
"LNG발전소 대부분 유휴설비 될 수도" 경고

2001~2012 연평균 smp 추이 (e2news db)

[이투뉴스] 전력부족으로 온나라가 비지땀을 흘리는 사이 전력이 남아도는 미래상황을 떠올리며 냉가슴을 앓는 이들도 있다. 내년 이후 전개될 가능성이 높은 전력 공급과잉 현상과 그에 따른 사업성 악화를 예견하고 있는 LNG복합·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들이다.

그러나 중대변수인 원전정책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이같은 시나리오 역시 불확실성이 적잖고, 향후 석탄화력 온실가스 비용 부과나 송전망 확충지연이 현실화 될 경우 이들 전원의 경제성 하락폭은 생각보다 크지 않다는 관측이 제기되기도 한다. 

11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전력거래소 등에 따르면, 5·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의해 내년말까지 완공돼 새로 가동에 들어가는 발전소는 원전 3기 3800MW, 석탄화력 2기 1740MW, LNG복합화력 15기 8241MW 등 무려 13.7GW에 달한다. 당장 올해말까지 4.5GW, 내년말까지는 9.2GW가 추가 확충된다.

노후화로 내년말까지 문을 닫는(폐지예정) LNG 4기 1.95GW를 제하더라도 국내 발전설비 총량은 올해 6월말 기준 83.7GW 대비 12.8GW 늘어난 96.5GW(신재생 제외)규모가 된다. 이렇게 되면 6~7% 안팎의 예비율은 내년에 배 이상 높아져 16.3% 수준이 될 전망이다(국회 예산정책처 추정치).

절전을 호소하고 있는 산업부가 "올해만 참으면 내년부터는 전력난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장담하는 근거다. 물론 이런 전망과 관측을 지나친 낙관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이들 설비가 100% 제때 건설·가동된다는 보장이 있냐는 거다.

하지만 적어도 향후 2년간은 당국의 전망이 틀릴 공산은 적다. 발전설비 모두가 이미 인·허가를 끝내고 착공에 들어가 건설중인 물량이며, 평균 60% 이상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어서다. 특히 올해 준공예정인 일부 LNG발전소는 정부의 재촉에 심야작업을 벌이며 공기를 2~3개월씩 앞당겼다.

연도별 신규설비는 올해는 이미 완공했으나 가동승인을 못받은 신월성2호기(1000MW)와 연말 준공예정인 신고리 3호기(1400MW), 시운전에 들어간 율촌복합 2호기(590MW)와 신울산복합(581MW), 신평택복합 2호기(631MW), 당진복합 3호기(373MW) 등 4575MW이다.

정부의 노후발전소 폐지 연기조치(물량 490MW)로 문을 닫는 발전소는 없다.

내년안에 발전을 시작하는 발전소는 배나 많다. 하반기 신고리 4호기(1400MW)를 포함 석탄설비인 영흥화력 5,6호기(각 870MW)가 준공 테이프를 끊고, 안동복합(400MW), 포천복합 1,2호기(각 725MW), 포스코복합 7,8호기(각 382MW), 율촌복합 2호기(295MW), 신울산복합(291MW), 신평택복합 2호기(316MW), 안산복합(834MW), 동두천복합 1,2호기(각 858MW) 등 LNG발전소가 무더기로 들어온다.

반면 폐지 시기를 늦춘 영남복합 1,2호기(400MW)와 울산복합 1~3호기(600MW), 인천복합 1,2호기(500MW), 포스코복합 1호기(450MW) 등 1.9GW가 연초부터 8월 사이에 문을 닫는다. 이 물량을 빼도 한해 1개 발전 자회사 규모인 7.2GW가 증설돼 설비 예비율을 지금보다 배로 높여놓을 전망이다.

현재 수명연장 심사를 받고 있는 월성원전 1호기(679MW) 외에 2023년 이전에 설계수명이 끝나는 원전도 없다. 정부의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RPS) 이행률 제고로 급증할 신재생 건설물량까지 감안하면 '전력설비 1억kW(100GW) 시대'가 목전으로 다가온 셈이다.

문제는 불과 1,2년 사이에 벌어질 이같은 변화가 경쟁관계에 있는 전원에 끼칠 충격파다. 현행 전력시장은 공급-수요에 따라 시장가격이 결정되는 계통한계비용(SMP) 체제다. 요즘처럼 수요가 많으면 넉넉한 발전사업 마진이 보장되나, 공급이 과다한 시점에선 저효율 노후발전기가 직격탄을 맞는다.

전력당국의 내부 분석에 의하면 10년 가량 가동된 LNG복합화력(효율 52%선)의 수익률은 올해 7.4%, 내년 2.5%로 급감하다가 2015년부터는 -6.9%로 곤두박질쳐 조기폐지가 불가피하다. 일부 저효율발전기(효율 49.8%)는 당장 내년부터 급전기회를 잃게 된다.(예상수익 0.3%)

신재생에너지도 이런 풍랑 속에 심각한 수익성 악화를 걱정해야 할 판이다.

태양광 등 신재생 전원은 현행 RPS제도에 의해 REC(신재생인증서) 낙찰가격에 가중치를 더해 수익을 보장받고, 여기에 SMP가격을 얹어 최종 판매단가가 결정된다. 일례로 가중치가 1.5인 건물태양광은 평균 REC값 135원의 150%에 SMP(4월 기준) 163원을 더해 kWh당 365원의 판매수익을 챙겨간다.

하지만 기저설비가 대거 확충되는 올해 이후 SMP는 kWh당 120원을 밑돌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이렇게 되면 정부가 인위적으로 REC가격을 높이지 않는 한 신재생 전원은 두자릿수 수익률 하락을 맞게 된다. 이미 발전사와 12년 공급계약을 맺은 업체들의 재무재표는 종잇장이 된다.

태양광발전사 관계자는 "태양광업체들은 연평균 10%씩 SMP가 상승할 것이란 전망 아래 최저 평균 SMP를 150원으로 보고 사업에 뛰어든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예측보다 크게 SMP가 하락하는 상황이 현실화된다면 사업성이 훼손돼 산업전반이 큰 충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과도한 공급과잉을 가정한 업계의 우려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향후 2년이 태풍이라면 2016년부터는 쓰나미 수준의 산업지형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올초 확정된 6차 수급계획에 따라 2015~2016년 사이 새로 건설되는 석탄화력설비는 당진 9호기(1020MW)를 포함해 9.4GW에 이른다. 예비율 24.6%(2016년 전망치) 시대의 값비싼 LNG발전과 신재생에너지 수익률은 시계제로다.

허가형 국회예산정책처 산업사업평가과 사업평가관은 "기저발전의 비중이 높아지면 LNG발전설비 유휴율이 상승하는데, 2019년 예비율이 28%로 상승하고 LNG 비중이 24%가 되면 기저발전 가동률을 인위적으로 낮추지 않는한 대부분의 LNG발전소가 일년내내 개점휴업 상태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반면 전력당국은 단기적 업황 악화에는 동의하면서도 중장기 전망은 예측불확실한 변수가 많아 섣부른 예단이 어렵다는 시각이다.

전력거래소 전력계획처 관계자는 "내년 이후 기저부하가 본격적으로 들어오는 것을 시작으로 그 이후 더 빠른 속도로 예비율이 상승해 SMP의 대세하락은 예상가능한 시나리오"라면서도 "그러나 2016년 이후에도 송전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일부 석탄화력 증설은 계획처럼 이뤄지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원자력도 큰 변수인데 정책이 급변하면 신규 물량만큼 가동정지(수명종료) 물량이 빠질수도 있고, 석탄화력의 경우 온실가스 비용이 더해져 비중축소나 LNG로의 전환이 가능하므로 공급과잉설과 그에 따른 경쟁전원의 수익성 악화 분석은 면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