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방수요 2%도 못미쳐…열병합발전 이용효율 반감
한난 등 업계, 상용화 앞둔 ‘제습냉방기’에 큰 기대

[이투뉴스] 냉방은 거의 없고 난방수요만 넘치는 지역난방이 열병합발전소 가동률과 효율을 떨어뜨리는 만큼 냉방수요 개발에 집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더불어 이를 위해선 사업자들의 노력과 함께 정부도 집단에너지 공급지역내 냉방의무화 등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현재 국내 집단에너지 열수요는 대부분 지역난방에 의존하고 있다. 난방과 온수 공급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업무 및 상업, 공공용 건축물에서 사용하는 지역냉방은 극히 미미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실제 국내 공급비중 절반을 차지하는 한국지역난방공사의 경우 지난 한 해 1249만Gcal의 열을 공급했지만, 냉방은 2%에도 못 미치는 17만6300Mcal에 그쳤다. 한난 외에 SH공사, 안산도시개발 등 여타 사업자 역시 냉방 수요가 1% 내외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지역냉방 수요가 이처럼 미진한 것은 집단에너지 공급지역 내 모든 공동주택과 건물이 지역난방은 의무지만 냉방은 일정면적 이상 건축물에만 의무이용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정부가 ‘분양가 상한제’를 실시하면서 건축비에 냉방시설을 포함시키지 않은 것도 결정타로 작용했다.

이같은 이유로 광명역세권지구를 비롯해 광교신도시 등 사업자들이 의욕적으로 추진했던 지역냉방 확대 시도는 번번이 가로막혔다. 최근 서울시도 공동주택까지 지역냉방을 공급키로 했던 마곡지구 지역냉방 시범사업 추진계획을 철회했다.

하지만 하절기 전력피크 완화와 함께 현재 가장 높은 수준의 에너지이용효율을 보이는 열병합발전소 효용을 높이기 위해선 지역난방 뿐 아니라 지역냉방 보급이 최소한 10∼20% 수준까지는 올라와야 한다는 분석이다.

냉방수요가 별로 없는 하절기에 열병합발전소를 돌릴 경우 여기서 나오는 열은 어쩔수 없이 버려야 하는 등 국가적으로 손해라는 이유에서다. 또 전력만 생산하는 운전모드가 있는 최신형 발전소라 할지라도 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할 때보다 효율은 낮아지는 부작용이 있다.

▲ 경기 용인시의 한 아파트에 설치돼 실증운전 중인 제습식 냉방기 모습.

냉방수요 확대를 위한 지역난방업계의 노력도 가속도를 내고 있다. 투자대비 편익이 낮다는 평가를 받아 온 기존 흡수식 공동냉방시스템에서 제습식 개별냉방시스템으로 전환, 대대적인 변화를 꾀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난과 귀뚜라미보일러 등이 지경부 지원을 받아 개발을 완료한 ‘제습식 냉방기’에 업계는 기대를 걸고 있다. 상용화를 위해 지난해 용인시 LIG아파트에서 실증운전에 들어간 제습냉방기는 전기를 쓰는 시스템에어컨과 구입 및 설치비는 비슷하면서도, 40% 가량 냉방요금을 아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여기에 탁월한 제습기능을 통해 쾌적한 여름을 보낼 수 있는 것은 물론 자동 환기 및 항균·탈취 기능 등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전기에어컨에 비해 실내환경 개선 및 건강 측면에서 오히려 낫다는 평가까지 받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자원배분과 분산형 전원의 확대를 위해선 지역냉방 기술수준에 맞춰 정부가 공동주택의 냉방의무화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아울러 ‘분양가 상한제’를 통한 냉방시설 건축규제 역시 하루빨리 개선, 소비자 선택에 맞겨야 한다는 지적이다.

신상윤 지역난방공사 영업처장은 “흡수식 냉방시스템은 냉방일수 대비 비용을 감안할 때 의무화를 하기엔 과투자이자 시기상조라는 판단도 틀리진 않다”면서 “하지만 제습냉방기는 투자비가 대폭 감소할 뿐 아니라 소비자의 웰빙냉방도 가능한 것이 큰 장점”이라고 소개했다.

아울러 그는 “현재 원가보다 낮은 전기요금으로 인해 냉난방 모두 전기로의 쏠림현상이 가속화되는 만큼 하절기 전력피크 완화와 국가적인 에너지이용효율 제고를 위해서는 지역냉방의 확대보급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