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 크고 유동성 리스크 높아 참여 '눈치'

[이투뉴스] 국내 탄소시장 도입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정부가 탄소시장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나서고 있지만 정작 시중은행들은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최규연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은 지난달 13일 "탄소배출권 선물 등 새 상품의 상장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종창 금융감독원장도 지난 6월 "내년까지 탄소배출권거래소를 설립하고 2012년에는 배출권 관련 파생상품과 지수를 개발하는 등 탄소배출권 시장 개설을 완료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외 전문가들은 탄소배출권시장이 수년 내 가장 큰 파생상품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은행권은 한국이 의무감축국이 되지 않은 이상 벌써부터 적극적으로 나설 이유가 없다는 반응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투자를 하거나 파생상품을 내놓기엔 시기상조라는 분위기"라며 "투자나 트레이딩부서에서도 스터디를 하는 정도지 탄소시장과 관련된 지분 투자나 대출은 거의 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HSBC 등 외국계 은행들이 탄소금융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신설부서를 만들고 적극 대응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벤처캐피탈이나 투자증권사들보다 더 보수적이고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는 비판을 면할 수 없는 상황.

하지만 국내 금융권은 탄소시장의 불확실성이 크고 파생상품에 대한 유동성 리스크가 높아 금융기관의 참여가 어렵다고 토로하고 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UNFCCC(UN기후변화협약)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고, 탄소권리증권, 탄소합성담보부증권, 옵션 등 파생상품에 대한 유동성 리스크가 높아 금융기관에 장애요인"고 말했다.

유동성 리스크는 일시적인 자금부족으로 정해진 결제시점에서 결제의무를 이행하지 못함으로써 거래 상대방의 자금조달 계획 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위험을 말한다.

탄소금융시장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탄소 관련 금융기관이나 상품을 육성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노희진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탄소자산관리, 탄소배출권 브로커리지(위탁매매), 기업탄소경영평가 전문회사 등의 설립을 지원·육성하고, 탄소배출권 펀드 등 탄소상품 활성화를 위해 세제 혜택을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영국의 경우 배출권거래소를 중심으로 세계 최대 탄소펀드 자산운용사인 CCC, 브로커리지회사인 TFS 그린 등 다양한 파생상품 개발 기관을 보유하고 있다.

네덜란드는 신재생에너지 등 환경사업 PF에 투자하는 뮤추얼펀드 가입자에 대해 세제 혜택을 줘 일반인들의 신재생에너지 투자를 유도한다.

노 선임연구원은 또 종합적 탄소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녹색은행(가칭)' 설립을 검토할 것을 제안했다.
 
김선애 기자 moosim@e2news.com

탄소금융이란 탄소 저감을 추구하면서 금융산업 발전, 환경개선 및 경제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미래지향적 금융 형태를 말한다. 저탄소 녹색기업 및 녹색기술 개발을 위한 금융 지원, 탄소금융상품의 개발 및 탄소 투자자 육성, 탄소배출권 시장의 효율적인 운영 등이 해당된다.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