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은 측정하나 지하수는 대책없어

북한의 지하핵 실험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지하수 등 수질 방사능 오염 대책에 구멍이 뚫린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과학기술부에 따르면 정부는 북한 핵 실험과 관련해 전국 15곳의 방사능 측정소와 25곳의 무인 방사능감시소를 통해 방사능의 대기오염을 정밀 측정하고 있으나 지하수의 방사능 오염에 대해서는 아무런 대책을 마련하지 않아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이문기 과기부 원자력국장은 "핵 실험에 의해 방사능이 유출되더라도 당장 수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지하수 오염 측정에 관한) 조치를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방사능 안전사고에 대한 책임을 맡고 있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측도 전국 37곳의 방사능 관측소에서 평상시 15분 간격의 측정에서 2분 간격으로 측정시간을 단축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지하수 오염에 대한 측정은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원자력안전기술원측은 한달에 한번 정도 원전 주변 하천의 물을 채집해 방사능 오염여부를 측정하고 있다.


원자력안전기술원 관계자는 "통상 핵실험은 지하수가 있는 지역에서는 실패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북한측이 핵 실험장소로 지하수가 있는 곳을 피했을 것"이라며 "수질 오염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국원자력연구소의 관계자는 "북한이 산악지역 수평갱도에서 핵 실험을 실시한 것으로 추정할 때 주변에 지하수가 없다고 보장할 수 없다"면서 "따라서 핵실험 장소 주변 지하수의 방사능 오염은 피할 수 없으며 오염된 지하수가 수맥을 따라 확산될 경우 오염 지역도 확대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핵 실험이 이뤄진 장소에서는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할 수 없는 등 인근 지역에서는 오랜 기간 사람이 살 수 없을 것이라고 이 관계자는 지적했다.


그는 그러나 현재 핵 실험 장소로 알려진 함경북도 화대지역과 서울 등 남한 지역과는 거리가 멀어 지하수 오염에 의한 남한 주민들의 피해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핵실험으로 인한 방사성 물질이 동해로 흘러갈 수 있으나 넓은 바다에서 방사능이 희석되기 때문에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북한측이 무리한 핵 실험을 강행하면서 안전조치를 소홀히 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대기 오염은 물론 지하수 오염에 대한 대비책도 함께 마련돼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